forked from cotes2020/jekyll-theme-chirpy
-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0
Commit
This commit does not belong to any branch on this repository, and may belong to a fork outside of the repository.
Showing
12 changed files
with
163 additions
and
4 deletions.
There are no files selected for viewing
This file contains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This file contains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Original file line number | Diff line number | Diff line change |
---|---|---|
@@ -0,0 +1,159 @@ | ||
--- | ||
title: "Computers are Social Actors(CASA)" | ||
author: BambooStreet | ||
date: 2024-09-24 11:31:00 +0800 | ||
categories: [study,paper,HCI] | ||
tags: [] | ||
image: assets/img/posts/20240925/thumbnail.png | ||
--- | ||
|
||
## CASA paradigm? | ||
|
||
<img src="/assets/img/posts/20240925/thumbnail.png" alt="main" width="500" style="display: block; margin: auto;"/> | ||
|
||
사람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서, 사람은 컴퓨터를 사회적 존재로 인식할까요? 최근 인공지능과 사람의 상호작용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사람은 근본적으로 이 '컴퓨터' 혹은 '인공지능'(컴퓨터의 일종이라 볼 수 있겠죠)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
|
||
|
||
CASA는 Computers-are-social-actors는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HCI(Human-Computer-Interaction)분야의 대표적인 논문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사람들이 컴퓨터를 인간이 아닌 것을 알면서도, 사회적인 방식으로 컴퓨터와 상호작용 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발견하는데요, 이 흥미로운 논문을 함께 살펴보시죠. | ||
|
||
|
||
## Computers are Social Actors | ||
|
||
![img](/assets/img/posts/20240925/figure1.png) | ||
|
||
|
||
논문에서 진행된 실험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 180명의 컴퓨터 사용이 능숙한 대학생들이 참여 | ||
* 45분의 실험 시간 | ||
* NeXT 워크스테이션 사용 | ||
* 튜터링(Tutoring), 테스트(Test), 평가(Evaluation)의 세 세션으로 구성 | ||
* **피험자들은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위 세션들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각 세션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 | ||
* 튜터링 시간에는 25~30개의 문제를 제공하고, 실제 테스트 시간에는 15개의 문제를 제시 | ||
* 랜덤한 문제라고 소개했지만 실제로는 모든 참가자에게 같은 문제를 제공(변인 통제) | ||
* 실험 컴퓨터는 3대로 서로 다른 목소리가 녹음되어 있다. | ||
|
||
![img](/assets/img/posts/20240925/experimental.png) | ||
|
||
|
||
|
||
### 실험1.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에의(Politeness) 규범을 적용하는가? | ||
|
||
[실험] | ||
|
||
33명의 피험자는 실험에서 컴퓨터 A를 사용하고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작성했습니다. 작성 방법은 다음 3가지 중 1가지 방법으로 진행했습니다. | ||
|
||
1.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컴퓨터 A에 입력 | ||
2.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컴퓨터 B에 입력 | ||
3. 컴퓨터 A에 대한 평가를 수기로 입력 | ||
|
||
[결과] | ||
|
||
* 피험자들은 1번 방법으로 평가를 진행할 때, 컴퓨터 A가 더 유능하다고 평가했습니다. | ||
* 2번, 3번 방법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 ||
|
||
이 실험의 결과로 피험자들은 컴퓨터를 대할 때, 예의 규범을 적용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 ||
|
||
|
||
<!-- ![img](/assets/img/posts/20240925/실험1.png) --> | ||
<img src="/assets/img/posts/20240925/실험1.png" alt="main" width="500" style="display: block; margin: auto;"/> | ||
|
||
|
||
### 실험2.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타인(Other) 개념을 적용하는가? | ||
|
||
실험2는 사람들이 컴퓨터를 '자아'와 '타인'으로 구분하는지 알아보는 것입니다. 44명의 피험자는 **평가 세션**에서 **튜터링 세션**와 같은/다른 목소리의 컴퓨터와 칭찬/비판 발화의 조합이 주어지는 컴퓨터를 사용합니다. | ||
|
||
|
||
[실험] | ||
1. 튜터링 단계와 같은 목소리 + 칭찬 발화 | ||
2. 튜터링 단계와 같은 목소리 + 비판 발화 | ||
3. 튜터링 단계와 다른 목소리 + 칭찬 발화 | ||
4. 튜터링 단계와 다른 목소리 + 비판 발화 | ||
|
||
|
||
[결과] | ||
* 피험자는 3,4번 실험인 다른 목소리 컴퓨터는 서로 다른 존재라고 일관되게 응답했습니다. | ||
* 피험자는 칭찬 발화에서 1번 같은 목소리보다 3번 칭찬 목소리일 때, 더 우호적이고 좋은 평가를 했습니다. | ||
|
||
이 실험의 결과로 피험자들은 신기하게도 컴퓨터에 '타인'이란 규범을 적용했고, 다른 사람이 칭찬해주는 것에 더 우호적인 사회적 규범을 컴퓨터에 적용했습니다. | ||
|
||
<img src="/assets/img/posts/20240925/실험2.png" alt="main" width="500" style="display: block; margin: auto;"/> | ||
|
||
|
||
### 실험3.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무엇을 근거로 '존재를 구분'하는가? | ||
|
||
|
||
실험3은 실험2의 결과를 더 깊이 탐구해 사용자들이 컴퓨터를 '자아'와 '타인'으로 구분할 때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지 알아보는 실험입니다. 특히, 컴퓨터의 음성과 물리적 기기 중에 어떤 것이 더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습니다. | ||
|
||
|
||
[실험] | ||
* 66명의 피험자는 실험2와 동일하게 같은/다른 **목소리**와 칭찬/비판 **발화**의 조건과 추가적으로 같은/다른 **기기** 조건이 추가된 컴퓨터를 사용합니다. | ||
* 총 8가지의 경우의 수 | ||
|
||
[결과] | ||
* 피험자는 컴퓨터가 같거다 다른 것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 ||
* 다른 목소리는 다른 존재로 구분했습니다. | ||
* 같은 목소리는 같은 존재로 구분했습니다. | ||
|
||
|
||
결과적으로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목소리'를 근거로 '존재를 구분'했습니다. | ||
|
||
<img src="/assets/img/posts/20240925/실험3.png" alt="main" width="500" style="display: block; margin: auto;"/> | ||
|
||
|
||
### 실험4.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성별 고정관념'을 적용하는가? | ||
|
||
이 실험은 피험자들이 과연 컴퓨터에 성별 고정관념을 적용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 ||
|
||
[실험] | ||
* 48명의 피험자는 24명 씩 남성/여성으로 구성 남성 목소리, 여성 목소리로 설계된 컴퓨터를 사용했습니다. | ||
|
||
[결과] | ||
* 피험자는 '남성의 칭찬이 여성의 칭찬보다 더 설득력 있다'는 고정관념을 적용 | ||
* 피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사랑과 인간관계에 대해 더 많이 알고있다'는 고정관념을 적용 | ||
* 피험자는 '여성의 칭찬보다 남성의 칭찬이 더 좋다'는 고정관념을 적용 | ||
* 피험자와 컴퓨터의 성별이 다를 경우, '사랑과 인간관계'에 대한 대화가 '더 유익하고, 더 폭넓은 선택을 하게 해준다'고 응답했습니다. | ||
|
||
|
||
남자 목소리의 컴퓨터에 대해 '주장이 명확하고, 힘있고, 영향력있고, 파이팅넘친다'고 평가했으며, 여자 목소리의 컴퓨터에 대해 '더 정교하고, 넓고,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더 많이 알고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인간은 컴퓨터를 대할 때, '성별 고정관념'을 적용했으며, 음성 인터페이스 관점에서 주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 ||
|
||
<img src="/assets/img/posts/20240925/실험4.png" alt="main" width="500" style="display: block; margin: auto;"/> | ||
|
||
### 실험5.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무엇을 근거로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는가? | ||
|
||
이 실험은 사용자들이 컴퓨터에 사회적으로 반응할 때, 실제로 컴퓨터 자체와 상호작용한다고 느끼는지, 아니면 다른 대상(예: 프로그래머)과 상호작용한다고 느끼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또한, 컴퓨터가 자신을 "나"라고 지칭하는 것이 이러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조사했습니다. | ||
|
||
[실험] | ||
* 33명의 피험자가 2대의 컴퓨터 사용, 위에서 설명한 3개의 세션을 총 2번 경험 | ||
* '컴퓨터' 조건에서는 컴퓨터와 실험자가 컴퓨터를 '이 컴퓨터' 혹은 '컴퓨터'로 지칭 | ||
* '컴퓨터-나' 조건에서는 컴퓨터가 스스로를 '나'로 지칭, 실험자는 '컴퓨터'로 지칭 | ||
* '프로그래머' 조건에서는 컴퓨터가 스스로를 '나'로 지칭, 실험자는 '프로그래머'로 지칭 | ||
|
||
[결과] | ||
* '컴퓨터' 조건일 때, 피험자는 '프로그래머' 조건일 때보다 '더 유능하고, 호감이 가고, 사용하기 쉽다'고 응답했습니다. | ||
* '컴퓨터와 나' 조건일 때, 피험자는 '프로그래머' 조건일 때보다 '더 긍정적'으로 응답했습니다. | ||
* '컴퓨터' 조건과 '컴퓨터와 나' 조건은 별 차이가 없었음 | ||
|
||
인간이 컴퓨터를 대할 때, '프로그래머'가 아닌 컴퓨터 자체와 상호작용 한다고 느낍니다. | ||
컴퓨터가 스스로를 '나'라고 지칭하는 것은 사회적 반응 유발에 필수적이지 않았습니다. | ||
결과적으로 피험자들을 컴퓨터에게 직접적으로 사회성을 부여했습니다. | ||
|
||
|
||
<img src="/assets/img/posts/20240925/실험5.png" alt="main" width="500" style="display: block; margin: auto;"/> | ||
|
||
|
||
|
||
|
||
|
||
CASA에서 파생된 연구들 주요 관점 정리 | ||
|
||
* 이처럼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인간은 컴퓨터를 사람처럼 대한다는 사실을 밝혀 왔는데, 당연하게도 여기에 모두가 다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 ||
* 최근에 인공지능 관련 논문에서도 많이 인용되며 Human-Ai-Interaction 연구에 참고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
|
||
|
||
|
||
## 결론 | ||
|
||
인공지능 챗봇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항상 '좋은 채팅 모델은 뭘까?'에 대한 고민이 많았습니다. 고객이 만족하는 대화 에이전트의 요소에는 단순히 크기가 크고 평가지표 점수가 높은 모델도 있겠지만, 말투, 목소리의 성별, 채팅 인터페이스 등 복합적인 요소도 간과할 수 없다고 느꼈습니다. 향후 AI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유저 입장의 서비스를 많이 고민할 것 같은데, 이러한 HCI,HAI연구에 귀를 기울여 보는 것도 하나의 실마리가 되겠구나 생각했습니다. | ||
|
||
|
This file contains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